세계 반도체 업체의 공급난이 가중되면서 반도체 장비 업체의 경쟁도 치열해지고 있습니다. 특히 메모리뿐만 아니라 파운드리 시장을 선점하기 위한 국내 업체들의 공격적인 투자로 인해 빅 5 반도체 장비 업체들이 한국에 연구소와 테스트 시설을 확충하고 이를 운영할 인력에 대해 본격적인 충원 작업에 들어갔습니다. 반도체 생산 인력 부족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국내 반도체 인력 구조하에서 반도체 장비 업체의 인력 채용이 더해지면서 인력난이 심해지고 있습니다. 반도체 장비 업체의 인력현황과 국내 반도체 생산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겠습니다.
반도체 장비 업체 국내 진출 현황
세계 빅 5 반도체 업체들은 삼성전자와 SK 하이닉스의 투자에 맞추어 국내에 R&D 센터를 건설하고 연구 거점을 마련하기 위해 투자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세계 반도체 장비 1위 기업인 어플라이드 머트리얼즈를 비롯한 빅 5 기업은 반도체 공장이 밀집된 경기도에 투자를 진행하고 있으며, 경기도 정부와 협력 관계를 유지하며 투자 협약을 맺는 등 발 빠른 대응을 하고 있습니다.
1. 어플라이드 머트리얼즈
세계 반도체 장비 1위 기업인 어플라이드 머트리얼즈는 경기도와 협약을 맺고 첨단 반도체 장비 R&D 센터를 건립한다. 투자 규모와 시기는 조율 중으로 조만간 투자 결정을 진행하고 본격적으로 국내 진출을 할 것으로 보입니다. 이를 위해 AMAT(어플라이드 머트리얼즈)은 소프트웨어 엔지니어, Safety Engineer 그리고 보건 관리자 모집 공고를 진행하고 있으며 규모는 300명 수준으로 빅 5 장비 업체 중 최고 수준입니다.
2. ASML
ASML는 2025년까지 경기도 화성에 2400억 규모의 투자를 진행하여 엔지니어 트레이닝 센터와 제조 센터를 건립할 예정입니다. 이를 위해 공정 장비 엔지니어와 극자외선 (EUV) 기술 개발자 그리고 공정 관리자 등 200명의 신규 인력을 채용할 예정입니다. 특히 EUV는 삼성전자의 3nm 반도체 제조에 핵심 장비로 추가 인력을 채용할 예정입니다.
3. TEL (도쿄 일렉트론)
세계 3위의 반도체 장비 업체인 TEL도 국내 R&D 인프라 확대에 1000억 원을 투자할 예정입니다. 이를 통해 연구 거점을 증축하고 테스트 클린룸을 확충할 예정입니다. 이를 위해 세 자릿수 규모의 신규 인력을 채용할 예정입니다.
4. 램리서치
램리서치는 지난 4월 경기도 용인에 R&D 센터를 구축했으며, 100명 이상의 엔지니어들이 근무를 하고 있습니다. 올해는 세 자릿수 이상의 신규 인력을 채용할 예정입니다. 램리서치는 반도체 장비 중 Etching, CVD 그리고 세정 장비를 생산하는 반도체 기업입니다.
5. KLA
반도체 공정에 사용되는 레티클 및 Optical solution 기업인 KLA는 R&D 분야와 사무조직을 지속적으로 확충하고 있으며, 최근 아시아 커뮤니케이션 팀을 신설하는 등 본격적으로 한국 기업 공략에 나서고 있습니다. 올해 신규 인력은 약 100여 명 정도 채용 예정입니다.
반도체 수급난과 함께 국내 메이저 생산업체들은 영역 확장을 위한 인력 확보에 최선을 다하고 있습니다. 이에 더하여 글로벌 빅 5 반도체 장비 업체의 국내 진출로 인한 인재 확보 전쟁에 뛰어들면서 인력난이 점차 심화되고 있는 형국입니다. 반도체 장비 업체들 또한 새로운 장비와 한국 실정에 맞는 경영 전략을 펼치기 위해 한국 엔지니어의 필요성을 느끼고 있습니다. 앞으로 국내에서 벌어지는 반도체 인력난이 우리 경제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해 지속적은 관심이 필요해 보입니다.
'시사일반'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국제 운전 면허증 발급 장소 및 사용 국가 (0) | 2022.08.01 |
---|---|
에드센스 무효 트래픽으로 인한 광고 제한 원인 해결책 (0) | 2022.07.31 |
모바일 운전면허증 발급 절차 및 방법 (0) | 2022.07.28 |
인텔 파운드리와 미디어텍의 파트너십 체결 (0) | 2022.07.26 |
한강 페스티벌 여름, 서울 도심공원 축제 (0) | 2022.07.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