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케팅은 기업의 제품과 서비스를 판매하기 위한 가장 중요한 행위입니다. 따라서 제품별 서비스별 마케팅 방법을 다르게 적용하여 최대의 효과를 얻는 것이 필요합니다. 같은 제품도 타깃에 따라 다른 마케팅 기법을 적용해야 성공적인 결과를 만들어 낼 수 있습니다. 또한 전략을 수정하고 실행 방안을 세분화하는 것이 성공적인 결과를 얻을 수 있습니다. 효율적인 결과를 이끌어 낼 수 있는 마케팅 기법 6가지에 대해 알아보고 어떻게 적용을 해야 하는지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고객을 사로잡는 6가지 마케팅 기법
1)디지털 마케팅
디지털 마케팅은 인터넷을 기반으로 진행되는 방법이다. 기존 방법인 오프라인 홍보와 대비되는 전략으로 휴대폰,전자기기,웹사이트 등을 통해 이루어지며, 소비자의 구매 트렌드가 TV나 오프라인에서 온라인으로 이동되면서 디지털 마케팅의 범위가 확대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특정 플랫폼에서 이루어지는 온라인 마케팅보다 넓은 영역이다.
2)노이즈 마케팅
상품을 홍보하기 위해 여러 가지 이슈를 만들어내 소비자들의 궁금증이나 호기심을 유발하는 방법이다. 제품에 대한 장점 등이 입에서 입으로 전해지는 마케팅 방법이다. 소비자의 입장에서는 부정적인 생각을 가질 수 있다. 하지만 상품이나 브랜드에 대한 인식과 친숙함을 심어줄 수 있어 반대로 구매력이 늘어나는 효과가 있다. 다만, 횟수가 많아지면 부정적인 이미지로 인해 신뢰성이 떨어질 가능성이 있다. 근래 이슈가 되고 있는 포켓몬스터 빵이 노이즈 마케팅의 대표적인 사례이다.
3)퍼포먼스 마케팅
데이터를 기반으로 성과를 조금씩 최적화해 나가면서 의사 결정을 하는 기법. 페이스북이나 유튜브를 보면 그들의 알고리즘을 통해 내가 좋아하고 관심 있는 주제를 연관시켜 보여주는 방법이다. 소비자가 관심 있는 광고를 연결함으로써 구매 전환율이 높은 방식이다. 소비자가 클릭을 많이 하거나 주로 방문하는 웹사이트에 대한 정보를 모으고 이를 데이터화하여 그 소비자가 관심 있는 제품과 서비스를 자주 노출하는 마케팅 기법이다. 주로 대규모 온라인 플랫폼에서 사용하고 있으며, 사용자에게 좀 더 구체적인 마케팅이 가능하다.
4)코즈 마케팅 (Cause Marketing)
대의명분을 뜻하는 의미로 기업의 경영 활동을 환경이나 빈곤 같은 사회문제와 연결시켜 이익 활동을 하는 방법이다. 기업은 소비자에게 소비를 통해 사회에 공헌한다는 대의명분을 주고 기업의 판매와 이미지를 개선하는 활동이다. 기업 이미지 개선 효과도 함께 얻을 수 있다. 대기업이 별도의 사회공헌 조직을 만들고 이를 마케팅에 활용하는 사례이다. 삼성, 현대차등의 대기업은 이러한 기업 브랜딩의 제고를 통해 소비자에게 좀 더 좋은 이미지를 심어주는 역할을 한다.
5)니치 마케팅
니치는 틈새시장을 일컫는 말로 수요가 비어 있는 시장을 위한 방법이다. 비어 있는 시장을 위한 상품을 개발하고 공략함으로써 해당 기업의 시장점유율을 높이는 방법이다. 특정한 성격을 가진 소규모 시장을 대상으로 판매 목표를 수립하는 방식이다. 시장 세분화(Segmentation) 전략이 필요하다. 기존 대형 냉장고 시장에 도전한 김치 냉장고 판매가 대표적이다. 또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업에서는 연령층 별로 선점된 온라인 서비스에서 특정 연령대가 주로 찾는 플랫폼을 개발하고 서비스하는 전략 마케팅 방법이다. 네이버가 밴드를 이용하여 40대 ~ 50대 소비자를 공략하는 것이 좋은 사례이다.
6) PPL 마케팅
Product Placement의 약어로 적재적소에 필요한 물품을 갖다 둔다는 의미다. 영화나 드라마에서 내용에 영향을 주지 않으면서 상품을 보이게 배치하여 소비자에게 노출하는 방법이다. 특히 유명인이 등장하는 장면에 노출시킴으로써 소비자의 흥미와 관심을 유발하여 판매로 연결하는 방식이다. 반대로 과도한 PPL 마케팅은 소비자의 반감을 사는 경우가 많다. 때문에 적절한 제품을 노출함으로써 마케팅 효과를 최대한 발휘되게 하는 것이 필요하다.
효과적인 마케팅 기법
소비자에게 자신의 상품을 홍보하고 판매하는 방식은 다양하다. 상품기획 단계나 설계 단계에서 소비자층을 구분하고 타깃층을 미리 선정해야 한다. 선정된 타깃을 위한 마케팅 방안도 함께 마련하여 출시 이전에 홍보와 마케팅을 진행해야 한다.
이러한 이유로 인해 많은 회사에서 상품 기획단계부터 마케팅팀이 참여하여 상품개발 전반을 관리, 모니터링한다. 온라인 기기 사용이 활발해지면서 플랫폼 및 SNS를 이용한 마케팅에 집중하고 있다. 따라서 효과적인 마케팅 결과를 얻기 위해서는 상품이 어느 플랫폼 소비자들에게 판매될 것인가를 예측하고, 집중해야 한다.
6가지 마케팅 기법이 독립적으로 존재하지 않는다. 제품 마케팅에는 독립적인 마케팅 방법이 필요하지만 어떤 제품은 두, 세 가지의 마케팅 기법이 동원되는 경우가 있다. 각각의 마케팅 기법 간에 장벽은 없으며, 제품과 서비스 개발 시 적합한 마케팅 기법을 파악하여 적용하는 것이 중요하다. 마케팅 기법의 목적은 제품을 알리고 기업의 매출을 극대화하고자 하는 것이다. 따라서 효과적인 마케팅을 위해서는 제품의 특성에 맞는 마케팅 기법의 선택이 중요하다.
'마케팅'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공포 마케팅의 정의 (0) | 2022.05.27 |
---|---|
틈새시장 공략 마케팅 (0) | 2022.05.25 |
포지셔닝의 정의와 유형 (0) | 2022.05.21 |
텔레마케팅의 정의와 개념 (0) | 2022.05.19 |
상품의 유통 경로 분석 (0) | 2022.05.17 |